본문 바로가기

IT

IP-PBX 구축간 Tip 공유

하기의 글은 IT Guy로서 대부분의 일반 회사에서 총무 내 통신실(혹은 부서)가 운용하는

IP-PBX 구축 및 연동에 대한 핵심 사항을 정리한 것입니다. (업무에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)

 

[1] IP-PBX(VoIP) 구축간 핵심 사항 : 일반 IT  입장에서

   1) IP-PBX 운영 부서와의 책임 및 관리에 대한 R&R을 명확히 해야 한다.

       > 구축 관리, 네트웍 문제 해결, 번호별 내역 청구 및 비용 산정, IP전화기관리의 구분 필요  

   2) Network 부서 담당자와의 협의

       > IP-PBX 간의 연동이 있는 경우 라우팅 정보 등의 요청을 해야 하므로

   3) 방화벽 담당자와의 협의

       > 방화벽 너머의  IP-PBX 연동 혹은 IP 전화기별 voice stream port 허용 등이 필요함

   4) 교환기 납품 및 망 임대 사업자와의 협의 및 계약 내용을 상세히 파악

       > 불필요한 070 전화기용 인터넷 망 가입을 강매 당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

   5) 여러 계열사를 수용하는 IP교환기(IP-PBX) 운용 시 비용 분배 및 정산 내용 확인 필요

   6) PSTN,디지털폰 등 IP외 분야에 대한 명확한 관리 내역을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임

 

[2] VoIP 연결의 핵심 : 인터넷 전화기가 일반 TCP 세션과 다른 부분

   1) 구성은 IP-PBX, 개별 IP전화기로 구축, IP-PBX는 내부적으로 중요 모듈로 구성됨

        > IP-PBX는 기존 PBX Based 제품과 IP Based 제품으로 구성되나, 후자가 대세임

   2) IP전화기간 통화 연결 세션의 핵심은 콜과 STREAM이 나뉘는 데 그 핵심이 있다.

        > CALL 세션은 IP전화기 –> IP-PBX로 해당 단말에 대한 정보 요청 후 Invite함

        > VOICE Stream은 이후 IP전화기 <- -> IP전화기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함

        > 전화기 회의/전환/보류 등의 기능은 IP-PBX의 Call Manager(서버)와 연계기능임

   3) 그림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가 되는 것임

        > 보통 1,2 관계는 방화벽 및 라우팅 정책에 대부분 적용되어 있음

        > 3~5 사이에 대한 방화벽 및 라우팅 정책 확인이 필요하며, 이 부분에 대한  협의를

           네트웍 담당(혹은 팀) 및 방화벽 담당(혹은 팀)과 원활하게 진행하여야 함.(설명필요)

     image     

[3] VoIP 게이트웨이 혹은 VoIP 스위치에 대한 이해

     > 교환기 제품별 해당 장비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 혹은 VoIP스위치를 납품함

     > 삼성의 경우  iBG 계열의 장비가 위의 역활을 수행하기 위해 납품됨

     > 해당 장비는 VoIP에 특화된 네트웍 스위치임을 확인했으며, 주요 명령어 체계는

        CISCO 제품의 커맨드 방식과 내용이 비슷함

     > 주요 기능은 white/black list를 기반으로 한 Port forarding 정책을 가진 장비임

 

[4] 교환기 구축 계약 진행 시 비용 절감 요소

     > 교환기는 대부분 업체에서 비용 감가를 요금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선호한다.

     > 이에 회선 비용 및 요금이 중요한 투자 비용 회수의 수단으로 판단된다.

     > 구매자의 입장에서 아래의 요소를 잘 고려하여, 구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.

         (1) 인터넷 회선은 기존 사내 인터넷망을 사용하겠다고 하는 것이 좋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IT 혹은 인터넷 담당 부서는 싫어하겠지만, 회사 입장에선 비용 절감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교환기 앞단의 인터넷 회선은 전용망이 아니다. 그냥 인터넷회선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오히려 IDS,IPS,DDoS,QoS 등이 지켜주는 사내 인터넷망이 더 안전하다.

          (2) 교환기 내부 모듈에 대한 이중화를 반드시 확인하라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교환기 투자는 회선 사업자의 몫이다. 내부 구성 모듈의 이중화에 집중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하여, 반드시 장애에도 가용성을 높이는 것이 타당하다.

          (3) 교환기 모듈 중 콜 manager 서버는 별도 물리 장비로 요청하길 권장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사유는 PBX외의 추가적인 기능은 대부분 Call 서버의 몫이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 : 유무선 통합 및 FMC 적용 등 다양한 선택사항,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.

 

[5] PSTN, 보통 ISDN은 모듈 2중화(보통 64 회선)를 권장한다.

          (1) PSTN,ISDN회선은 인터넷 회선과 관계가 없어 인터넷 장애와 관계없다.

          (2) 임원 및 VIP 회선은 발신도 PSTN(ISDN)으로 변경해 두는 것이 좋다.

          (3) 교환기의 해당 모듈은 2중화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이다.

          (4) 번호 수신은 ISDN 회선으로 In하도록 하고, 발신은 VoIP로 비용 절감하라.

 

[6] FAX/디지털폰은 기존 통신 업무로 IT 외의 것일 수 있다.

          (1) FAX/디지털폰 등은 가설팀에게 넘겨 주는 것이 효율적임

          (2) 상기 내용은 IT 업무보다는 통신, 네트웍에 가까운 업무로 분류할 수 있음

 

 

*) 항상 말씀드리는 것처럼 광고 클릭은 매우 작지만, 제게 도움이 됩니다. ^^

    본인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클릭 한번 조심히 부탁 드려 봅니다.

 

*) 제가 알고 있는 정보가 틀린 정보라면, 두서없이 댓글 부탁드립니다. 수정하겠습니다.